연혁

SINCE 1910
서울대학교병원 약제부가 걸어온
100년의 역사현장

  • 2023년

    • 항암제 조제 로봇 운영
    • 약품자동분출기 확대 (어린이병원 병동 1대, 중환자실 1대)
    • 직원 대상 과별 멘토클라스, 타직종 대상 마음처방사, 보직자 대상 정책아카이브 운영
    • 국민건강보험공단 주관 다제약물관리사업 병원모형 3차 시범사업 참여 지속
    •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연구과제 수행 및 의료혁신실 약제부 공동 주관 심포지엄 개최(12/14)
    • 2개 약학대학 MOU 체결(단국대, China Pharmaceutical University)
    • 포스트 코로나 이후 활발한 해외교류활동(ACCP, FIP, FAPA 등)
    • 전문약사 법제화 – 제 1회 자격시험 37명 응시
    • 다양한 홍보 활동(서울대학교병원 유튜브 촬영, TV 프로그램 출연, 대한민국 병원약사 콘텐츠 공모 우수상)
    • SNUH-SPIRIT 활동 구연발표 금상 수상
  • 2022년

    • 4주기 의료기관 인증평가 수검
    • 약품자동분출기 확대 (본관 병동 5대, 어린이병원 외래주사치료실 1대)
    • 보직자 대상 멘토클라스, 정책아카이브 운영
    • 국민건강보험공단 주관 다제약물관리사업 병원모형 3차 시범사업 참여
    •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연구과제 수행 및 의료혁신실 약제부 공동 주관 심포지엄 개최(12/16)
    • 13회 전문약사 자격 취득 - 18명
    • 6개 약학대학 MOU 체결(가천대, 대구가톨릭대, 동덕여대, 목포대, 전북대, 제주대)
    • 환자안전왕(정확하고 올바른 투약관련 적극적인 개선 및 우수 활동 부서) 수상
    • SNUH-Developer 활동 구연발표 은상 수상, SNUH-SPIRIT 활동 구연발표 장려상 수상
  • 2021년

    • 약제부 미션, 비전 개정 및 선포식
    • COVID19 백신 관리 및 성동구 지역예방접종센터 약사 파견
    • 보직자 대상 멘토클라스, 정책아카이브 운영
    • 국민건강보험공단 주관 다제약물관리사업 병원모형 2차 시범사업 참여
    • 플러스원 오더 발행시스템 적용에 따른 아침약 조제업무 시행
    • 한번 결재시스템 도입
    •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용역 연구과제 수행
    • 의료혁신실 약제부 공동 주관 심포지엄 개최
    • 12회 전문약사 자격 취득-19명
    • 환자경험향상 활동 공모전 최우수 부서 선정
    • Pharmacist Leadership 2차 포럼 개최
  • 2020년

    • 약품자동분출기 도입
    • 비대면 전화진료를 위한 프로세스 도입
    • 입원환자 약물안전관리 체계 구축
    • 암환자 Deprescribing 업무 및 췌담도암 환자 항암화학요법 교육 시작
    • Pharmacist Leadership 1차 포럼 개최
    • 제 11회 전문약사 자격 취득 - 19명
    • 학습조직 활동 SNUH-Developer 구연 은상, SPIRIT 활동 포스터 장려상 수상
  • 2019년

    • 대한외래 원내약국 오픈 및 항응고치료상담실 이전
    • 상담약사 서비스 구축
    • 중증소아재택의료기관 시범사업 참여 - 가정정맥영양 환자 교육 및 상담
    • 다약제사용 환자의 약물사용최적화를 위한 약사의 역할 심포지엄 개최
    • 4개 약학대학 MOU 체결(강원대, 고려대, 동국대, 충남대)
    • 제 10회 전문약사 자격 취득 - 15명
    • 학습조직 활동 SNUH-Study 포스터 우수상, SPIRIT 활동 포스터 우수상(2팀) 수상
  • 2018년

    • 3주기 의료기관 인증평가 수검
    • ‘병원약학 실무실습서’ 개정
    •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 연계보고 시작
    • 노인 다약제 상담업무 시작
    • 제 9회 전문약사 자격 취득 - 3명
    • SPIRIT 활동 포스터 우수상 수상
  • 2017년

    • 임상약료파트 신설 - 3과 8파트 체제 운영
    • 차세대 HIS 오픈 및 전산 의약품집 관리
    • 산제 용량 표준화 시스템 적용
    • 다약제 복용 노인환자의 약물 사용에 대한 정책과제 수행
    • 환자안전과 병원약사의 역할 심포지엄 개최(공공보건의료사업단 공동 주최)
    • 약학대학 MOU 체결(연세대)
    • 제 8회 전문약사 자격 취득 - 15명
    • SPIRIT 활동 구연 금상, 포스터 장려상 수상
  • 2016년

    • 조제오류 감소활동, 고위험 의약품 관리체계 정비활동
      - QA 활동 구연 은상, 동상 수상
    • 자동화 시럽 핸드 동력기, 핸드형 약물주입기 개발(의공학과 협조)
    • 조제실제제의 사용기한 설정에 대한 정책연구 수행
    • 약학대학 MOU 체결(숙명여대)
    • 제 7회 전문약사 자격 취득 - 8명
    • 학습조직 활동 포스터 우수상
  • 2015년

    • 항암주사조제업무 암진료조제파트로 통합, 제제실 주사조제파트로 통합
    • 제제실 및 무균주사조제실 리모델링
    • 제 6회 전문약사 자격 취득 - 8명
    • 학습조직 활동 동상, QA 활동 구연 동상, 포스터 우수상 수상
  • 2014년

    • 2주기 의료기관 인증평가 수검
    • 약학대학생 실무실습 시행 - 필수 : 6개 대학, 140명, 심화 : 6개 대학, 29명
    • 서면 복약지도 시작
    • NST 자문수가 신설에 따른 TPN 자문실 운영
    • BPS 및 제 5회 전문약사 자격 취득 - 8명
    • 신규의약품 효과 모니터링 시행
  • 2013년

    • 약학대학 6년제 개편에 따른 약학대학생 실무실습
    • 6개 약학대학 MOU 체결(덕성여대, 순천대, 원광대, 이화여대, 중앙대, 한양대)
    • ‘병원약학 실무실습서’ 발간
    • 제 4회 전문약사 자격취득 -2개 분야 7명
    • 제 3회 약사위원회 워크샵 개최
    • 정신건강의학과 복약지도 시작
    • 2차원 바코드를 활용한 마약류 및 특별관리 약품 투약 - 소아조제파트
  • 2012년

    • 감염관리실 내 항생제관리팀 약사 신설
    • 퇴원약 업무 입원조제파트 이관
    • 천식환자 복약상담, 마약성 진통제 교육, 통증단체 교육
    • MICU 팀의료, 뇌신경질환 환아 복약상담
    • 조제 전 약사의 처방 및 항암제 프로토콜 검토 확대실시
    • 종로구 보건소 연계 의약품 안전사용 교육 진행
    • BPS 및 제 3회 전문약사 자격 취득
  • 2011년

    • 암병원 개원에 의한 암진료조제파트 신설 - 3과 7개 파트
    • 학습조직 경진대회 대상, 은상, 포스터 우수상 수상
    • QA 금상, 동상 수상
    • 상반기 환자안전 우수부서 선정
    • 제2회 전문약사 자격 취득 (5개 분야 9명)
    • 분할불가 의약품에 대한 팝업 프로그램 실시
    • 마약잔량반납 프로그램 전산화
    • 파킨슨 환자 복약상담 시작
    • 하이차트 설명처방 프로그램 도입
    • 소아 약수첩 발행
    • 영양지침서 발간 (본원, 어린이병원)
  • 2010년

    • 정책연구과제 “새로운 Paradigm을 위한 약제업무 Roadmap" 진행
    • 의료기관 인증제 수감 - 35개 지침 제정 및 개정
    • 약제부 안전관리 표어 제작 “내 부모약 같이 조제하고 내 자녀약 같이 확인하자”
    • 환자안전 챔피언 배출
    • 제 1회 전문약사 자격취득(5개 분야 7명)
    • 소아 전병동 UDS 실시
    • 소아 신장환자, NICU, PICU, NST 팀의료 활동 시작
    • 지참약 마스터 관리
  • 2009년

    • 직제개편 - 3과 6파트
    • 임상약제업무와 조제업무의 융합으로 병동약사활동 도입 - 임상약제파트 폐쇄
    • 학습조직 경진대회에서 입원조제파트 대상 수상
    • QA에서 주사조제파트 은상 수상
    • 약물유해반응관리센터에 약사 전보발령
    • 뉴스레터 E-저널로 변경 발행
    • 외과계 중환자실 병동약사 활동 시작
    • 입원조제파트 정규처방전 전자처방화와 전자서명 실시
    • 소아조제파트 리모델링 완료
  • 2008년

    • 약제전산시스템 웹베이스로 전면 개편
    • 소아병원 UDS 확대
    • 최우수직원 표창 수상,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표창 수상, 종로구청장 표창 수상
    • 전 직원 참여하 기증품 수집하여 아름다운 가게에 전달
    • 모든 TPN consult를 의뢰 시점부터 24시간 이내에 회신할 수 있도록 업무 조정 및 전산 프로그램 완성
    • 외래원내약 환자별 1포 조제 맞춤화 실시
    • 약의날 약사학술대회에서 최우수 논문상 수상
    • 학습조직 포스터상 수상
    • 소아당일수술센터, 소아청소년 콩팥병센터 낮병동, 소아청소년 암센터 낮병동 개설
  • 2007년

    • University of Washington(USA)의 임상실습 정규과정으로 공식 인정
    • 외래약국 개보수(11~12월)
    • 부서운영계획사례발표회 은상 수상(12월)
    • 통합물류실 약품관리계로 약품구입 및 재고관리 업무 이관
    • MIS 약제시스템 개정
    • 약품관리 바코드 시스템 도입
  • 2006년

    • 약제부가 올해의 부서로 선정되었음
    • 본원 전병동 UDS 시스템 도입
    • QA 경진대회 금상 수상
  • 2005년

    • 3월 소아조제과 신설하여 약무과, 조제과, 소아조제과 직제개편
      약무계와 정보실험계가 통합되어 약무정보계로 됨
      임상약제팀은 임상약제계로 변경되어 약무과로 됨
      조제계는 입원조제계와 외래조제계로 분리되어 조제과로 됨
      소아조제계와 주사조제계는 소아조제과가 됨
  • 2004년

    • 1월 소아주사조제실이 주사조제계로 이동
    • 9월 치과약국이 분리되었음. 암센터약국 가동 및 외래주사실을 폐쇄하였음
    • 10월 TPN(Total Parenteral Nutrition)실을 옮기면서 중앙공급실과 공간조정
    • 12월에 병실약국을 확장하였음
  • 2002년

    • 10월 약무과, 조제과 2과로 축소되었음
  • 2001년

    • 1월 의약분업에 따른 구조조정이 단행됨. 3과 체제에 약무계,조제계, 주사조제계, 정보실험계, 소아조제계 및 임상약제팀으로 5계 1팀으로 2계가 축소되었음
  • 2000년

    • 7월 의약분업 시행(실제 8월부터 시행됨)
    • 10월 15일 MIS 전면적 실시로 처방오더시스템이 전산화됨.
  • 1999년

    • 4월 1일 IMF 영향으로 구조조정함. 약무과, 조제과, 소아약제과의 3과와 약무제제계, 약품관리계, 정보실험계, 약물동력학계, 병실조제계, 외래조제계, 소아병실조제계,소아외래조제계로 1과 1계가 축소되었음
  • 1997년

    • 5월 정보실험실 명칭이 정보실험과로 변경되었음
  • 1995년

    • 3월에 가정의학과 약국을 신설하였으며,노후배관 교체공사로 인해 9월에는 지층 약제부가 가건물로 임시 이주하였다가 이듬해인 1996년 4월 실방 재배치후 제자리로 복귀하였음 7월에는 제2외과계 약국을 신설하였음
  • 1994년

    • 본원과 소아 입원환자 약가조정업무가 약제부로 이관되었고, 약제부장의 자문기구로서 약학담당이 신설되었음
  • 1993년

    • 치과진료부가 신축이전함에 따른 직제개편으로 치과약국이 약제부 소관으로 되었음 또 12월에는 직제개편에 의해 재고관리과 의약품계가 약무과로 소속되어 약품공급업무가 다시 약제부 소관으로 환원되었음
  • 1991년

    • 1월 외래투약대기시간 단축방안의 일환으로 외래조제실을 내과계와 외과계로 분리하였음 전문약사제도가 신설되었음
  • 1987년

    • 5월 약물동력학실이 신설되어 정맥주사혼합 및 약물동력학업무를 담당하게 되었음
  • 1985년

    • 10월 소아진료부 개원에 따라 소아약제과가 신설됨
  • 1983년

    • 전공약사제도가 신설되었음
  • 1981년

    • 5월에는 재고관리업무 중앙화 방침에 따라 약무과에서 취급하여 오던 약품 재고관리업무가 별도로 신설된 재고관리과에 흡수되었음
  • 1980년

    • 8월 제제과가 제제계로 축소되어 정보실험실로 편입됨
  • 1978년

    • 7월 병원이 법인으로 되면서 약국을 약제부로 개칭하였고 약제부 조직이 약무과, 조제과, 제제과, 정보실험실 등 4과로 출발하였음
  • 1969년

    • 실험정보실 업무를 본격적으로 시작함
  • 1967년

    • 약제과를 약국으로 개칭하였음
  • 1965년

    • 약국업무를 약무계와 제제계로 나누고 조제실의 업무도 외래조제와 입원조제로 나누어 역약(投藥)의 전문화를 기하였음
  • 1950년

    • 당시 생긴 병원 간부회의에 약제부장이 기본 구성원으로 참여하여 병원의 중요한 정책 결정에 관여함
  • 1910년

    • 조선총독부의원으로 개원시 약제과가 처음으로 설치됨